티스토리 뷰

목차



    여행 필수품인 보조배터리, 비행기 탈 때 아무렇게나 가져가면 안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년 3월부터 항공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 용량별 기준, 기내 보관 방법, 항공사별 승인 조건까지 안전한 여행을 위한 필수 정보들을 지금부터 정리해드립니다.
    빠르게 인천공항 규정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1. 왜 기내에만 가져가야 할까?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이 높은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위탁 수하물에 넣을 경우 사고 발생 시 대처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탑승자가 직접 들고 기내에 가져가야 하며, 공항 보안검색 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으면 압수될 수 있습니다.

     

     

    2. 용량별 반입 기준 정리

     

    • 100Wh 미만: 최대 5개까지 가능, 별도 승인 불필요
    • 100Wh~160Wh 이하: 최대 2개까지 가능, 항공사 사전 승인 필수
    • 160Wh 초과: 기내 반입 절대 불가

     

    💡 전력량 계산법: 전압(V) × 전류량(mAh) ÷ 1000 = Wh
    예: 3.7V × 2500mAh = 9.25Wh

    충전식 배터리의 Wh 용량은 대부분 제품 라벨에 표기되어 있지만, 없는 경우엔 직접 계산해서 확인하셔야 해요.

     

    3. 기내 보관 방법과 주의사항

     

    보조배터리는 좌석 위 선반에 보관하면 안 됩니다.
    좌석 앞 수납공간이나 개인 가방 안에 넣어두고, 언제든지 꺼낼 수 있어야 하죠.

    또한, 단자(포트)는 금속과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나 전용 파우치로 감싸야 단락(합선)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기내 콘센트를 통한 충전은 제한될 수 있으며, 비행 전 항공사에 충전 가능 여부를 확인해두는 것이 좋아요.

     

    4. 실제 사고 사례로 본 규정의 중요성

     

    최근 몇 년간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발열, 연기 발생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올해 초 에어부산 항공에서는 탑승 전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해, 승객들이 대피하고 비행이 지연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작은 전자기기 하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사는 점점 더 엄격하게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결론

     

    보조배터리는 단순한 여행 준비물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잘못 소지하거나 규정을 어기면 탑승 자체가 거부될 수 있으며, 기내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자신의 보조배터리 용량을 사전에 확인하고, 항공사 규정에 맞게 준비해주세요.
    안전한 여행은 정확한 정보에서 시작됩니다. 😌✈️🔋

     

    반응형